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전기차 충전소 정기권 요금제 완전정리
전기차 운전자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충전요금입니다.
특히 주행거리가 많고 자주 충전을 해야 하는 분들에게 충전소 정기권 요금제는 매우 유용한 선택지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2025년 현재 운영 중인 주요 정기권 요금제들을 정리해드립니다.
1. 정기권 요금제란?
월 고정 금액을 내고 일정량(kWh)을 충전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미사용분은 다음 달로 이월되지 않으며, 초과 시 일반 요금이 적용됩니다.
2. 환경부 EV패스 요금제
- EV패스 50 요금제: 월 16,500원 → 50kWh 제공
- EV패스 90 요금제: 월 29,700원 → 90kWh 제공
- kWh당 약 330원 수준으로 일반 요금 대비 약 5~10% 절감
- 모바일 앱에서 간편 신청 가능
3. 스타코프 정액제 요금제
- EV Subscription 100: 월 33,000원 → 100kWh 충전
- EV Subscription 150: 월 47,000원 → 150kWh 충전
- 카드사 제휴 시 추가 할인 혜택 제공
- 충전소 혼잡 시간 회피 시 자동 보너스 제공
4. E-pit 멤버십 요금제
- 초급속 충전기 전용 요금제 (현대/기아 차량 대상)
- EV 프라임 요금제: 월 44,000원 → 약 120kWh 제공
- 예약 기능, 포인트 적립 기능 포함
5. 정기권 요금제 선택 팁
- 월 평균 충전량 확인: 50kWh 이상이면 정기권 유리
- 자주 이용하는 충전 브랜드 확인 (환경부, 스타코프, E-pit 등)
- 단일 차량 충전만 가능하므로 가족 공유는 불가
6. 마무리
충전소 정기권 요금제는 충전비를 예측 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어
장거리 출퇴근자, 배달 업무 등 주행량 많은 사용자에게 매우 효과적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정기권을 잘 선택해 매달 충전비 절약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환경부 vs 민간 충전요금 차이를 비교해드릴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