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급속충전기 출력별 요금 비교 (2025년 기준)
전기차 충전 시 가장 빠른 방식은 급속충전입니다.
하지만 충전기 출력에 따라 충전 속도와 요금이 달라지므로 어떤 충전기를 선택해야 비용과 시간 면에서 효율적일지 고민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급속충전기의 출력(kW)별 요금 차이와 각 출력에 따른 사용 추천 상황을 소개해드립니다.
1. 급속충전기의 출력 종류
- 50kW급: 구형 급속기, 충전 시간 40~60분
- 100kW급: 현재 표준급, 약 30분 내외 충전
- 150~200kW급: 고출력 급속기, 20~25분 소요
- 350kW급: 초급속, 10~15분 내외 (일부 차량만 지원)
2. 출력별 요금 비교 (2025년 평균)
출력(kW) | 평균 요금 (원/kWh) | 충전 시간 (80%) |
---|---|---|
50kW | 340~360원 | 50~60분 |
100kW | 370~400원 | 30~40분 |
200kW | 420~450원 | 20~30분 |
350kW | 480~520원 | 15~20분 |
3. 어떤 출력을 선택해야 할까?
- 여유 있는 상황: 50~100kW 충전기를 이용해 저렴하게
- 장거리 중 휴게소에서: 150kW 이상 고출력 사용 추천
- 시간이 매우 급할 때: E-pit 등 350kW 초급속 적극 활용
- 단, 차량 지원 여부 확인 필수 (일부 모델은 100kW 이하만 지원)
4. 급속충전 시 요금 팁
- 출력이 높을수록 요금이 비싸므로 자신의 시간 상황에 맞는 선택이 중요
- 충전기 혼잡도나 대기 시간 고려 시 오히려 100kW가 효율적일 수 있음
- 정액 요금제는 고출력 충전 시 더 빠르게 소진됨
5. 마무리
급속충전기 출력별 요금은 속도와 비용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요금을 절약하려면 저출력 충전기를 활용하고,
시간이 촉박하거나 장거리 운전 중이라면 고출력 초급속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전기차 충전 패널티 요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